프로야구 LG 트윈스 투수 정우영이 모처럼 무실점 투구를 했다.
2군에 머물고 있는 정우영은 22일 이천 베어스파크에서 열린 2025 퓨처스리그 두산 베어스와 경기에 불펜투수로 등판, 1이닝 1볼넷 무실점을 기록했다.
정우영은 7-3으로 앞선 8회 마운드에 올랐다. 선두타자 볼넷으로 불안했다. 첫 타자 신민철을 5구째 볼넷으로 출루시켰다.
무사 1루에서 양현진을 초구에 3루수 땅볼 병살타로 주자를 삭제시켰다. 2사 후 김준상을 풀카운트에서 중견수 뜬공으로 이닝을 마쳤다. 세 타자 상대로 12구를 던졌고, 스트라이크는 5개였다.
LG는 2회 선두타자 송찬의가 볼넷으로 출루했고, 1사 후 김현종이 좌중간 2루타로 선취점을 뽑았다. 연속 볼넷으로 1사 만루 찬스가 됐고, 손용준이 유격수 내야 안타로 1타점을 추가했다. 이영빈이 좌전 적시타로 2타점을 기록, 4-0으로 달아났다.
LG는 2회 송찬의의 볼넷과 김주성의 좌측 2루타로 만든 무사 2,3루 찬스에서 김현종의 내야 땅볼로 1점을 추가했다. 6회는 1사 만루에서 문정빈의 희생플라이로 6-0까지 달아났다. 7회는 송찬의, 곽민호, 김현종의 3연속 안타로 만루를 만들었고 2사 후 폭투로 1점을 추가했다.
LG는 선발 김웅(5이닝 무실점), 진우영(1이닝 무실점)에 이어 배재준이 7회 등판해 3피안타 2볼넷으로 3점을 허용했다. 정우영에 이어 9회 이지강(1이닝 무실점)이 던졌다. LG가 7-3으로 승리했다.

정우영의 무실점 기록은 참 오랜만이다. 지난 6월 11일 고양 히어로즈전에서 ⅓이닝 무실점 이후 72일 만에 처음이다. 당시 0-2로 뒤진 5회 2사 3루에서 등판해 김동헌을 3구삼진으로 잡고 이닝을 마쳤다.
이후 퓨처스리그에서 등판 간격이 띄엄띄엄이었지만 4경기 연속 실점을 허용했다. 6월 28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⅔이닝 2피안타 1탈삼진 2실점(1자책), 7월 22일 고양 히어로즈전 2이닝 2피안타 3볼넷 2탈삼진 4실점, 지난 5일 한화 이글스전 2이닝 3피안타(1피홈런) 2볼넷 1탈삼진 3실점, 지난 9일 상무전 ⅔이닝 1피안타 1볼넷 2탈삼진 2실점을 각각 기록했다.
고양과 한화전에서는 선발투수로 등판해 2이닝씩 소화하기도 했다. 이닝을 길게 던지며 밸런스, 구위를 점검했다.
정우영은 입단 5년차인 2022년 최고 157km의 위력적인 투심을 앞세워 홀드왕(35홀드)을 수상했다. 차근차근 성장해 메이저리그 진출을 꿈꾸기도 했다.
그러나 2023시즌 투구 밸런스가 무너지면서 평균자책점 4.70으로 부진했고 시즌 후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았다. 지난해 27경기 등판에 그쳤고 평균자책점 4.76을 기록했다. 올해는 1군에서 6월에 4경기(2⅔이닝) 등판해 평균자책점 20.25을 기록했다. 6월 23일 2군으로 내려갔다.

/orange@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