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복귀설’로 뜨겁게 달아올랐던 손흥민(33·LAFC)의 이름이 다시 차갑게 식고 있다. AC밀란 단기 임대설로 축구계를 들썩이게 했던 루머는 결국 해프닝으로 결론났다. 현지 언론이 “가능성은 없다”며 선을 그었다.
이탈리아 현지 매체 ‘삼페르밀란’은 26일(한국시간) 유럽 이적시장 전문가 마테오 모레토 기자의 발언을 인용해 “AC밀란은 손흥민 영입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모레토는 “팀 공격진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구단은 손흥민을 데려올 의향이 전혀 없다. 높은 이적료와 이미 겹치는 포지션이 가장 큰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며칠간 유럽 축구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손흥민-AC밀란 단기 임대설’은 일단락됐다. 하지만 불씨를 지핀 건 분명 있었다. 지난 23일, 이탈리아의 베테랑 축구 전문 기자 카를로 펠레가티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기회가 주어진다면 AC밀란은 손흥민을 반드시 영입해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펠레가티는 “손흥민은 어느 포지션에서도 뛸 수 있는 완벽한 공격수다. 그는 윙어로도, 세컨드 스트라이커로도, 심지어 중앙에서도 활약할 수 있다. 만약 그가 밀란에 온다면 공격의 완성체가 될 것”이라며 극찬을 쏟아냈다.
논란의 발단은 글로벌 축구 통계매체 ‘트랜스퍼피드’의 보도였다. 해당 매체는 “손흥민이 MLS의 긴 겨울 휴식기를 활용해 2025-2026시즌 중반 AC밀란으로 단기 임대될 수 있다”고 보도하며, 과거 데이비드 베컴의 ‘MLS-AC밀란 임대 사례’를 언급했다.
실제로 베컴은 2009년 LA 갤럭시 소속 시절 MLS 비시즌 동안 AC밀란에 임대돼 경기 감각을 유지한 바 있다. 이후 헨리, 루니, 이브라히모비치 등 여러 스타들이 비슷한 방식으로 유럽 무대를 밟기도 했다.

‘손흥민도 월드컵을 앞두고 유럽에서 몸을 만드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MLS는 유럽 리그보다 휴식기가 길다. 손흥민은 2025시즌 종료 후 약 3개월의 공백을 가지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 단기 임대’ 시나리오는 충분히 그럴듯해 보였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삼페르밀란은 “AC밀란은 1월 이적시장에서 공격수를 보강할 가능성이 있지만, 알레그리 감독이 원하는 스타일은 손흥민이 아니다”고 못박았다. 이어 “알레그리는 박스 안에서 존재감을 발휘하는 전형적인 타깃형 스트라이커를 원한다”고 덧붙였다.
즉, 빠른 침투와 넓은 활동반경이 강점인 손흥민은 밀란의 현재 구상과 맞지 않는다는 뜻이다. 여기에 재정적 부담도 문제다. 손흥민은 MLS 최고 수준의 연봉을 받고 있으며, 임대료까지 고려하면 AC밀란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금액대다.

토트넘 쪽 상황도 변수로 꼽힌다. 영국 매체 ‘홋스퍼 HQ’는 “손흥민의 단기 임대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설령 토트넘으로 복귀한다고 해도 한 달 남짓밖에 뛸 수 없고, 팀 전력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사실상 이번 ‘밀란 임대설’은 현실보다 상상에 가까운 시나리오였다. 유럽 언론들이 MLS 휴식기와 베컴의 과거 사례를 억지로 끼워 맞춘 결과였다. 실제 협상이나 접촉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결국 남은 것은 “역시 손흥민이니까”라는 화제성뿐이었다. MLS를 넘어 여전히 세계 축구계의 중심에 있는 이름, 손흥민. 그의 일거수일투족이 곧 뉴스가 되고, 상상만으로도 시장을 들썩이게 한다는 사실이 이번 해프닝에서 다시 한 번 증명됐다.
/mcadoo@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