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 최다 3루타 타이' 이정후, '우상' 이치로와 어깨를 나란히…'3루타 제조기' 홈구장 덕분? 신기록 가능할까
OSEN 조형래 기자
발행 2025.09.27 19: 40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이정후가 ‘우상’ 이치로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이정후는 27일(이하 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오라클 파크에서 열린 ‘2025 메이저리그’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경기 7번 중견수로 선발 출장해 4타수 3안타 1득점을 기록했다. 올 시즌 11번째 3안타 이상 경기.
아울러 이정후는 이날 아시안 빅리거의 새로운 역사에 이름을 올렸다. 2회말 1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콜로라도 선발 헤르만 마르케스를 상대한 이정후는 8구 풀카운트 승부를 펼쳤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8일(한국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 스타디움에서 2025 메이저리그 시범경기 시애틀 매리너스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경기가 열렸다.8개월 가량 재활을 마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이정후는 이제 메이저리그 데뷔 2년차 시즌을 준비한다. 1회초 1사 2루에서 시애틀 매리너스 회장특별보좌역 스즈키 이치로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이정후 타석을 바라보고 있다. 2025.02.28 / sunday@osen.co.kr

8구째 92.6마일 싱커를 받아쳐 우중간 가장 깊은 코스로 타구를 보냈다. 비거리 387피트(117.9미터), 타구속도 102마일(164.2km)의 큼지막한 타구를 날렸다.
타구는 우측 담장을 맞고 떨어지며 멀리 흘렀고 야수진이 타구를 쫓아가는 사이, 이정후는 3루까지 내달렸다. 시즌 12번째 3루타를 만들었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타구는 메이저리그 30개 구장 중 22개 구장에서 홈런이 되는 타구였지만 이정후는 3루타로 만족해야 했다. 아울러 메이저리그 3루타 순위 단독 3위로 올라섰다. 코빈 캐롤(애리조나)이 17개, 재런 듀란(보스턴)이 13개를 기록하고 있고 이정후가 그 다음이다.
아울러 시즌 12번째 2루타로 자신의 우상인 이치로와 함께 아시아 선수 단일 시즌 최다 3루타 기록과 타이를 이뤘다. 이치로는 지난 2005년 12개의 3루타로 아시아 선수 최다 3루타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정후가 20년 만에 어깨를 나란히 한 것. 
이정후는 메이저리그 진출 첫 해인 지난해 3월, 밥 멜빈 감독의 주선으로 이치로와 직접 조우하기도 했다. 멜빈 감독은 과거 시애틀에서 두 시즌 동안 이치로를 지도한 바 있다. 
당시 MLB.com에 따르면 멜빈 감독은 “이정후가 질문이 있다고 했는데 이치로 면전에서 그걸 잊어버리더라”라고 웃으며 “이정후는 이치로를 향해 경기 준비, 등번호 51번의 자부심에 대해 이야기했다”라고 뒷이야기를 전했다. 이정후가 등번호 51번을 선택한 이유는 바로 이치로의 신들린 안타 행진을 보고 성장했기 때문.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정후는 이치로와 만남에 대해 “조금 긴장됐다”라고 속내를 털어놓으며 “이치로에게 경기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경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좋은 답변을 많이 받았고, 소소한 이야기를 나누는 것만으로도 정말 행복했다”라고 가슴 벅찼던 순간을 전하기도 했다. 
이치로는 일본프로야구를 평정하고 2001년부터 2019년까지 메이저리그에서 19년 동안 2653경기 타율 3할1푼1리 3089안타 117홈런 780타점 1420득점 509도루를 기록한 전설의 외야수다. 통산 7차례 최다안타 1위, 10차례 올스타 선정, 골드글러브 10회 수상 등 화려한 커리어를 보냈다. 지난해 명예의전당 헌액 투표에서도 압도적인 득표율로 입성했다. 만장일치에 단 1표 차이(394표 중 393)일 정도로 대단한 커리어를 보냈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정후는 이제 아시아 선수 최다 3루타 기록에 도전할 수 있다. 하지만 올해 샌프란시스코의 남은 경기는 단 2경기.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것도 맞지만 도전을 할 수 있다면 하는 것도 맞다. 
일단 샌프란시스코의 홈 구장인 오라클 파크는 우중간이 상당히 깊숙하다. 이 곳을 ‘3루타의 협곡(Triple’s Alley)라고도 부른다. 오라클 파크는 우측까지 거리가 309피트(94m)로 짧은 편이지만 24피트(7.3m)의 높은 담장이 버티고 있다. 여기에 우중간 담장까지 거리는 421피트(128m)로 상당히 깊다. 좌타자가 홈런 치기에는 상당히 힘든 환경이지만 대신 2루타와 3루타를 만들기에는 좋은 환경이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jhrae@osen.co.kr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