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 비방 콘텐츠 제작’ 패스트뷰 前 팀장, 기소 의견 송치..역바이럴 수사 확대될까
OSEN 김채연 기자
발행 2025.05.22 17: 23

하이브 아티스트를 향한 비방성 콘텐츠를 제작·유포한 혐의를 받는 콘텐츠 스타트업 패스트뷰의 전 직원이 결국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넘겨졌다. 
22일 업계 및 수사당국에 따르면, 서울 수서경찰서는 최근 패스트뷰 소속이었던 A씨를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및 모욕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 A씨는 팀장급 인사로 이미 퇴사한 상태지만, 혐의가 인정되면서 향후 수사 범위에도 눈길을 끌고 있다.
앞서 지난해 하이브는 유튜브 채널 ‘피플박스’와 ‘다이슈’에 게재된 영상들이 자사 및 소속 아티스트를 악의적으로 비방했다고 판단해 고소장을 제출했다. 해당 콘텐츠에는 아일릿 멤버가 뉴진스 멤버를 겨냥해 특정 음식을 언급했다, 하이브 아티스트가 특정 종교와 연관돼 있다는 등 사실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인 내용이 다수 포함됐다.

하이브는 이같은 행위가 특정 기업과 아티스트를 의도적으로 깎아내리는 ‘역바이럴’의 일환이라며 수사를 의뢰했다. 실제로 논란이 된 영상 다수는 과도한 추측, 확인되지 않은 루머 등을 기정사실처럼 포장하며 여론을 왜곡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그치지 않고 하이브와 산하 레이블인 쏘스뮤직, 빌리프랩은 지난해 8월, 패스트뷰가 운영 중인 총 7개 채널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민사소송도 제기했다. 이어 9월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유튜브 채널 운영자 신원 확인을 위한 서피나(제출명령)까지 신청하며 유튜브 채널 운영자를 특정했다.
이번 사건에서 주목되는 점은 A씨가 단독으로 해당 영상을 기획하고 실행했는지 여부다. 만약 회사 차원의 지시가 있었다면, 조직적으로 특정 아티스트를 겨냥한 음해 콘텐츠가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패스트뷰는 2015년 설립된 콘텐츠 스타트업으로, ‘피플박스’, ‘다이슈’, ‘디패스트’, ‘스광’, ‘뉴오토포스트’, ‘밈미디어’ 등 다수의 유튜브 채널과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cykim@osen.co.kr
[사진] 하이브 로고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