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속사 대표 강제추행’ 걸그룹 멤버 母 “대표가 멤버들 이간질, 신체접촉 거부하자 부당대우”
OSEN 지민경 기자
발행 2025.04.29 10: 52

143엔터테인먼트 대표 B씨에게 강제추행을 당했다는 그룹 메이딘의 멤버 A씨의 어머니가 눈물의 호소를 했다.
29일 오전 서울 중구 언론노조 회의실에서 메이딘 소속사 143엔터테인먼트 대표 B씨의 강제추행 고소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이날 자리에는 피해자 A씨의 모친과 법률대리인, 전 143엔터 A&R팀장, 한빛미디어노동인권센터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앞서 한빛센터 측은 “지난해 10월, 143엔터의 설립자이자 대표 프로듀서 B 대표는 소속 아이돌 멤버를 대표실로 불러서 3시간 동안 폭언과 협박을 가한 후, 강제추행과 성적 모멸감을 주는 성희롱을 가했다. 당시 피해자는 만 19세 미만으로 아동청소년성보호법의 보호를 받는 미성년자였다”라고 밝혔다.
이어 “143엔터 B 대표는 사건 직후에 스스로 잘못을 인정하고 일선에서 물러나서 피해자와의 공간분리를 약속했지만, 이내 사실을 부정하고 약속을 지키지 않고 왜곡된 말들로 피해자의 명예를 실추시켰다. 또한 143엔터는 B 대표의 가해 사실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며 거짓으로 일축하고 피해자에게 아무런 통보 없이 피해자를 소속 그룹에서 탈퇴시켰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빛센터 측은 “오히려 피해자에게 책임을 돌리는 143엔터 B 대표의 언행으로 지난 6개월간 피해자와 피해자 부모들이 받은 고통은 너무나 컸다. 이와 같은 사건에도 불구하고 활동을 이어가고자 하는 피해자의 뜻도 143엔터의 일방적인 퇴출로 무산됐다”며 “사실관계를 바로 잡고 이를 공론화하여 실추된 피해자의 명예를 회복시키고, 피해자가 받는 정신적 고통을 조금이라도 덜어내고자 한다”고 기자회견의 목적을 강조했다.
기자회견에서 피해자의 어머니는 “B 대표는 상담이라는 명목으로 멤버들을 한 명씩 불러 이간질을 했다. 그 결과 동료를 서로 믿지 못하게 했다. 엄마인 저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참아야 한다. 그게 사회생활이다. 네가 원해서 시작한 거 아이냐는 말로 몰아붙였다. 아이에게 피해가 갈까 두려워 하라는 대로 모든 걸 따랐다. 이게 화근이 될 줄 몰랐다. 아이는 힘들어하면서 도 아이돌 활동을 지속하려고 했다. 너를 친딸같이 예뻐하는 것이라며 달랬다”고 토로했다.
모친은 “매일 갇혀 지내던 아이는 친구나 지인들과의 소통이 막혀있었다. 심지어 춤 선생님께 상담한 것을 알고 대표는 낮에도 밤에도 숙소에 찾아와 휴대전화를 검사했다. 가벼운 스킨십이었던 신체적 접촉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서 더 부담스럽게 다가왔다. 아이는 이제 내 몸 좀 그만 터치하라고 명확하게 말했고 이에 대표는 업무상 지속적인 불이익과 부당한 대우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이어 “그러던 중 사건이 터졌다. 아이의 이야기를 들은 그 순간 진심으로 저는 죄인이라고 생각했다. 아이가 몇번이나 구조신호를 보냈음에도 저는 무시했다. 그 결과 아이는 상상도 못할 일을 겪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은이는 새로 생긴 팬들이 소중하다며 메이딘을 계속 하고 싶다고 했다. 저는 도무지 어떻게 해야할지 몰랐고 아이의 의사를 따라 신고를 하지 못했고 대표에게 각서를 받고 조용히 활동을 마무리하려고 했다. 대표가 일선에서 물러나면 된다고 했다. 하지만 대표는 물러나기는 커녕 스케줄 하나하나에 간섭하고 휘파람을 불며 마치 아무일 없었다는 듯 행동했다. 아이는 귀에 휘파람 소리가 들린다며 미칠 것 같다고 힘들어했다”고 눈물을 흘렸다.
또한 어머니는 “아이는 결국 무너졌다. 하루하루가 지옥같았다. 내가 아이를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마음이 타들어갔고 삶 자체가 무너져내렸다. 그러던 중 갑자기 사건반장에서 아이의 녹취가 방송됐다. 동의한 적도 없으며 공개한 적도 없는 녹취였다. 아이의 꿈과 미래를 위해 조용히 활동을 끝내려고 했는데 방송이 되어 아이는 두려움에 떨었다. 저희는 더이상 믿을 수 없다는 생각을 했다. 아빠가 대표를 만났고 원하는 조건 다 들어주겠다고 해서 조율하다가 대표는 회사가 입장문을 먼저 낼테니 아이에게 인스타그램으로 좋아요를 누르라고 했다. 아이는 그것도 들어줬다. 거기에 그치지 않고 대표는 아이의 입장문도 올리라고 했다. 입장문은 거짓 투성이었고 왜 피해자가 가해자처럼 행동해야 하나 싶어서 못하겠다고 했다. 그러자 대표는 태도가 달라졌다. 막막했다”고 말했다.
이어 “어릴 때부터 모든 것을 143이라는 회사에 걸었다. 아이가 앞으로 뭘 해야 할까 막막했다. 아이돌 활동도 대표의 사과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대표에게 요구할 수 없었던 것은 합의금뿐이었다. 부끄럽지만 가진 것이 없는 집이다. 아이 미래를 걱정한 부모의 미련한 마음이었다. 다른 사람 눈에는 단순히 돈만 요구하는 사람처럼 보일 수 있고 아이가 다칠 수 있을 것 같다는 걸 몰랐다. 죄책감이 들고 후회가 든다. 대표는 죄를 인정하는 것이라며 합의금도 거절했다. 그는 아이가 다칠텐데 괜찮겠냐며 협박의 말을 남기고 떠났다.그 이후 아무런 연락도 없이 탈퇴 기사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모친은 “힘이 없는 저희는 끝까지 대응을 하지 못했다. 아이는 메이딘을 계속하고 싶어했다. 그 소망을 지키고 싶어했지만 우리는 그러지 못했다. 저는 우리 딸에게 영원히 죄인이다. 부모로서 아이를 위한다는 말로 아이를 더 깊은 어둠으로 밀어넣었다. 미안하고 또 미안하다. 저라면 결코 감당할 수 없는 4년라는 시간을 견뎌내고 지금까지 버티고 살아온 제 딸에게 고개숙여 존경을 표한다. 이제는 진짜로 아이를 지키고 싶다. 아이가 지고 있는 무거운 짐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 이런 사람은 업계에서 퇴출되어야 하며 반드시 죗값을 치러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mk3244@osen.co.kr
[사진] OSEN DB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