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몸을 이끌고 그라운드에 섰지만, 비판의 화살은 어김없이 김민재(29, 바이에른 뮌헨)를 향했다. 뱅상 콤파니(39) 감독은 그런 김민재를 끝까지 감쌌다.
바이에른 뮌헨은 17일(한국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의 주세페 메아차에서 열린 2024-2025시즌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8강 2차전 원정경기에서 인터 밀란과 2-2로 비겼다. 하지만 1차전에서 1-2로 패했던 뮌헨은 두 경기 합계 3-4로 밀리며 또다시 4강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이로써 바이에른의 유럽 제패 도전은 2019-2020시즌 이후 5년 만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좌절됐다.
이날 경기에서 김민재는 선발로 출전해 에릭 다이어와 함께 중앙 수비를 맡았다. 그러나 전반 28분 마르쿠스 튀랑을 막기 위해 백태클을 시도하다 경고를 받았고, 이는 상대에게 위협적인 프리킥 기회를 내주는 빌미가 됐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04/17/202504171058777375_6800640055252.jpg)
후반 16분에는 벵자민 파바르의 헤더 득점 장면에서 직접적인 경합 상황에 놓이며 수비에 실패했고, 이후 후반 20분 라파엘 게헤이루와 교체돼 일찍 그라운드를 떠났다. 이 두 장면은 김민재에게 가장 치명적인 장면으로 남았다.
독일 언론의 혹평은 거셌다. '빌트'는 김민재에게 팀 내 최저점인 평점 6점을 부여하며 "경기력이 가장 낮았다"라고 평가했고, '키커'와 'RAN'도 각각 5점이라는 낮은 점수를 주며 집중력 부족과 공중볼 대응 실패를 지적했다. '스폭스'는 "파바르의 골을 허용한 장면은 김민재에게 일어나서는 안 될 장면"이라고 단언했다.
독일 언론은 선수를 평가할 때 1점~6점 사이의 점수를 매긴다. 1점에 가까울수록 높은 점수다. 5점, 6점은 사실상 낙제점이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04/17/202504171058777375_68006400ed45f.jpg)
김민재를 향한 일방적인 비판이 정당하냐는 물음에는 고개를 갸웃하게 된다. 김민재는 지난 몇 개월간 아킬레스건염과 기관지염을 안고 강행군을 이어왔으며, 경기 이틀 전에도 제대로 된 훈련을 소화하지 못했다. 세계선수협회(FIFPro)는 경기 직전 김민재를 '과부하 사례'로 지목하며, "시즌 초부터 부상을 안고 경기에 출전했고, 대표팀과 클럽을 오가며 시즌 종료까지 70경기 이상 뛸 수도 있는 유일한 선수"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김민재는 올 시즌 평균 경기 간격 3.7일이라는 극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문제는 바이에른의 상황도 그를 쉴 수 없게 만든다는 데 있다. 주전 수비수 다요 우파메카노, 알폰소 데이비스, 이토 히로키 등이 부상으로 이탈한 상황에서 김민재는 사실상 유일한 '가용 카드'였다. 바이에른은 전반적인 세트피스 수비 집중력 저하, 측면 수비의 크로스 차단 실패, 미드필드의 압박 붕괴 등 여러 문제가 동시에 나타났고, 김민재는 그 와중에 결정적인 장면에 자주 노출되며 실점의 빌미를 제공하게 됐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04/17/202504171058777375_680064018e73a.jpg)
경기 후 기자회견에서 이탈리아 기자가 "SSC 나폴리에서는 최고의 수비수였지만 바이에른에 와선 실망스럽다"라고 질문하자, 뱅상 콤파니 감독은 단호하게 반박했다. 그는 "모두가 의견을 가질 수 있지만,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김민재는 우리 팀의 우승에 반드시 기여할 선수이며, 우리는 그를 신뢰한다"라며 굳은 믿음을 보였다. 이어 "클럽 내부에서는 솔직하게 논의하지만, 공개적인 비판은 받아들일 수 없다"라고 말했다.
김민재는 부상과 컨디션 난조 속에서도 매 경기 투혼을 발휘해왔다. 그는 앞서 인터뷰에서 "벤치에 앉아 있는 것보다 뛰는 게 낫다. 내가 파이터라는 걸 팀 동료들도 안다"라며 진통제를 맞아가며 경기에 나선 배경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실점 장면이 반복되고 있는 만큼, 본인의 책임 여부와 별개로 팀 내부와 팬들 사이에서 신뢰 회복이 필요한 시점이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file.osen.co.kr/article/2025/04/17/202504171058777375_6800640225c03.jpg)
바이에른은 결국 인터 밀란의 세트피스 집중력, 라우타로 마르티네스와 파바르의 결정력 앞에 무너졌고, 김민재는 혹사 끝에 체력 저하와 집중력 저하를 겪으며 부진의 중심에 섰다. 모든 걸 걸고 뛰는 그의 선택은 박수를 받을 만하지만, 그를 둘러싼 혹사의 구조는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reccos23@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