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졌다!!' 다니 다이치(한국명 김도윤), 韓 선택 못받고 日서 득점포 작렬
OSEN 우충원 기자
발행 2025.04.11 12: 29

 가수 김정민(56)의 아들로 알려진 다니 다이치(16, 한국명 김도윤)가 일본 U-17 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국제 대회에서 골을 기록하며 본격적인 존재감을 드러냈다. 그는 과거 FC서울 유소년팀 소속으로 활약하며 ‘김도윤’이라는 이름으로도 국내 축구팬들에게 알려졌던 인물이다.
다니는 11일(이하 한국시간)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오카즈 스포츠클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AFC U-17 아시안컵 B조 조별리그 3차전 호주전에서 후반 33분 교체 투입된 뒤, 8분 만인 후반 41분 왼발 슈팅으로 자신의 대회 첫 골을 성공시켰다. 비록 일본은 경기에서 2-3으로 패했지만, 골득실에서 앞선 덕분에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고, 동시에 FIFA U-17 월드컵 본선행 티켓을 확보했다.
다니는 한국인 아버지 김정민과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두 나라 국적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 그는 FC서울 오산중학교 시절까지는 ‘김도윤’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K리그 유망주로 기대를 모았지만, 이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고 현재는 J리그 사간 도스 U-18팀에서 활약 중이다. 이러한 그의 경로는 유소년 시절부터 국내 무대에서 주목받은 선수가 다른 나라 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국제무대에 등장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상징성을 갖는다.

일본행 결정은 축구 실력 향상에 대한 열망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다니는 지난해 일본 축구 전문 매체 사커 다이제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더 높은 수준의 팀에서 훈련하고 싶었다”며 “사간 도스를 선택한 건 당연한 결정이었다”고 밝혔다.
실제로 그는 184cm의 준수한 체격 조건에 부드러운 터치와 기술력을 겸비해 일본 유소년 무대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장신 공격 자원이 드문 일본 축구계에서 그 가치는 더욱 부각되고 있다. 현지에서는 "일본 유스 시스템의 차세대 9번 후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다니의 국가대표 선택은 개인적인 진로 선택이자 동시에 한국 유소년 축구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는 단면이기도 하다. 한국은 여전히 전국대회 중심의 성적지향적 운영, 열악한 인프라, 병역 이슈 등 복합적인 구조 속에서 유망주들이 축구 외적인 문제로 고심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손흥민이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통해 병역 혜택을 받은 사례나 석현준의 병역 기피 논란 등은 이러한 시스템적 한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다니 다이치의 일본 대표팀 선택은 어쩌면 부모 입장에서 가장 현실적인 선택이었을 수 있다.
김정민은 스포츠조선과 인터뷰에서 “아들의 꿈을 지지한다”고 밝힌 바 있으며 가족 역시 일본에서의 안정적인 생활 환경과 훈련 시스템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한국 축구는 출산율 저하로 인한 등록선수 감소, 그리고 유망주들의 해외 유출이라는 이중 위기에 직면해 있다. 다니 다이치와 같은 이중국적 선수들의 타 국가 대표팀 선택은 더 이상 드문 사례가 아니다.
한국은 현재 C조 2위로 8강에 진출한 상황이며, 대회 진행에 따라 일본과 준결승에서 맞붙을 가능성도 남아 있다. 만약 다니가 한국을 상대로 득점하거나, 일본의 승리에 기여하는 장면이 연출된다면 그 상징성과 여파는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다니의 사례는 단순히 한 명의 유망주를 놓쳤다는 아쉬움에서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곧 지금의 유소년 시스템으로는 재능을 지키지 못하고 있다는 경고이며 더는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이다. 유소년 육성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혁과 함께 인프라 확대, 선수 개개인의 미래를 고려한 유연한 제도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 10bird@osen.co.kr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