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량과 기동성. 지난 시즌 전북 현대에서 볼 수 없던 부분이 살아났다.
전북 현대는 16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김천 상무와 하나은행 K리그 1 2025 1R 홈경기에서 빠른 시간에 선제골을 허용했으나 투지 넘치는 활동량과 기동성을 통해 상대를 압도하면서 2-1 역전승을 거뒀다.
올 시즌 두 번째 경기이자 첫 리그 경기이기에 전북 팬들의 기대가 높았다. 지난 시즌 강등 플레이오프까지 가면서 역대 최악의 시즌을 겪었던 전북은 이번 시즌 심기일전을 위해 완전히 대규모 개혁에 나서면서 거스 포옛 감독을 선임했다. 역대 K리그 감독 중 손꼽힐 정도로 좋은 커리어를 가지고 있는 포옛 감독은 전북 부임 이후 대대적인 개편에 나섰다.
포옛 감독은 데뷔전부터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전북은 지난 13일 태국 방콕 BG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4-2025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2 16강 1차전서 포트FC(태국)에 4-0 완승을 거뒀다. 그리고 홈 데뷔전이나 K리그 개막전에서도 지난 시즌 승리가 없던 김천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면서 기분 좋은 시즌 스타트에 나서게 됐다.
김천전은 전북 입장에서는 복수 혈전이다. 지난 시즌 전북은 김천 상대로 1무 2패였다. 한 골도 넣지 못하면서 내리 다섯 골을 허용했다. 말 그대로 김천한테 지독하게 당했기에 이번 시즌 포옛 감독 체제에서는 제대로 복수전에 나서면서 앞으로 기대를 더욱 키우게 됐다.

이번 시즌 K리그 1은 기존보다 2주 빠른 2월 15일 개막했다. 4~5월 ACLE 토너먼트와 6월 FIFA 클럽 월드컵, 7월 EAFF E-1 챔피언십 개최 영향으로 인한 이른 개막이다. 이로 인해서 상대적으로 준비 과정이 짧지만 포트전과 홈 개막전서 연달아 승리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날 전북은 포트전과 마찬가지로 확연히 작년에 비해 젊어진 라인업을 들고왔다. 나이도 나이지만 경기 전반적으로 확실히 왕성한 활동량과 투지 넘치는 움직임이 돋보였다. 지난 시즌 전북의 고질병으로 지적 받은 활동량 부재와 느린 기동성 부분이 상대적으로 해서된 부분이었다.
전북의 선발 라인업을 살펴보면 전진우(1999년생)와 콤파뇨(1996년생), 송민규(1999년생) 역시 경기 내내 왕성하게 뛰면서 팀 볼 흐름에 기여할 수 있는 선수였다. 여기에 이승우(1998년생) 역시 3미들의 꼭지점으로 중원과 최전방의 연결 고리 역할을 충실하게 해냈다.
지난 시즌과 완전히 달라진 수비진도 돋보였다. 김태환(1989년생)-김영빈(1991년생) 같은 베테랑과 박진섭(1995년생) 같은 중격, 최우진(2004년생) 같은 신구 조화가 안정적으로 돌아갔다. 돌아온 수문장 송범근(1997년생) 역시 안정적인 경기 운영으로 팀에 큰 힘을 더했다.

교체 멤버들도 상대적으로 젊어진 상황. 경기 전 사전 인터뷰에서 포옛 감독은 포트전과 연속성 있는 라인업이라고 설명하면서도 두 자리(최우진, 전진우)의 변경에 대해서 활동량 등을 고려한 선택이라고 밝혔다. 이 말대로 전북은 경기 시작부터 끝까지 왕성한 활동량과 기동력을 뽐내는 축구를 보여줬다.
리커버리나 활동량 부분에서 전북은 확연히 지난 시즌과 달라진 모습이었다. 비록 파이널서드에서 작업이나 수비 집중력 등 아직 개선 사항은 보였으나 이날 전주성을 찾은 1만 9619명의 관중 앞에서 전북은 이번 시즌 보여줄 축구에 대한 예고편을 성공적으로 선보이면서 시즌을 향한 기대를 올렸다.
/mcadoo@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