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송대관이 오늘(9일) 동료, 후배들의 마지막 인사를 받으며 영면에 들었다.
9일 오전 서울대학병원 장례식장에서 가수 송대관의 발인이 엄수됐다. 고인의 장례는 대한가수협회장으로 치러졌으며, 고인과 절친한 사이인 태진아와 이자연 대한가수협회장이 공동 장례위원장을 맡았다.

영결식에서는 태진아가 추도사를 낭독하고, 후배 가수 이자연이 조사, 강진이 애도사를 전했다. 대표로 추도사를 낭독한 태진아는 "제가 3일 동안 밥을 안 먹고 술로 배를 채웠다. 형님이 하늘나라로 가시면 방송하는 게 별로 재미가 없을 것 같다"라며 토로했다.
이어 "치매에 걸린 집사람이 대관이 형이 돌아가셨다고 하니 '아이고 어떻게? 왜?'라고 하더라. 아내를 끌어안고 울었다. 이 형이 우리와 얼마나 가까웠으면 기억을 못 하는 아내도 형을 기억해 줄까 싶었다"라고 털어놨다.

또한 그는 "형님과 함께한 시간이 참 많았는데, 이렇게 떠나보내야 한다는 게 지금도 믿기지 않는다"라며 "좋은 곳에서 편안하게 잘 지내시고, 제가 갈 수 있는 좋은 자리도 하나 만들어 달라. 대관이 형, 잘 가. 영원한 나의 라이벌이여"라고 고인의 영정을 향해 손을 흔들었다.
이후 故 송대관의 대표곡 '해뜰날'이 태진아, 설운도 등에 의해 조가로 합창됐고, 발인식이 거행됐다. 이후 송대관의 운구 차량은 유족 및 참석자들을 태운 채 서울 추모공원으로 향했다. 화장 후 고인은 경기도 안성 유토피아 추모관에서 영면에 들었다.

송대관은 지난 7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송대관 측은 “선생님께 평소 지병이나 기저질환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최근 컨디션이 좋지 않다고 하시면서 병원에 입원했다. 그러던 중 갑작스럽게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나셨다”고 전했다.
1967년 ‘인정 많은 아저씨’로 데뷔한 송대관은 오랜 무명 기간을 거친 뒤 ‘해 뜰 날’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1976년 MBC 최고가수대상을 수상했고, 제26회 한국방송대상 가수상, 한국방송공사 올해의 가수상 성인 부문, SBS 가요대전 트로트 부문상, KBS 가요대상 최고가수상 등 다수의 상을 받았다. ‘정 때문에’, ‘차표 한 장’, ‘네박자’, ‘유행가’ 등의 히트곡을 남겼고, 최근까지도 활발하게 활동하며 무대에 섰다.
/yusuou@osen.co.kr
[사진] OSEN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