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철(36)이 절친 기성용(36, FC서울), 이청용(37, 울산)에 대해 이야기했다.
제주SK는 14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구자철의 현역 은퇴 기자회견 및 제주SK FC 유스 어드바이저(Youth Advisor) 위촉식을 진행했다.
구자철은 지난 지난 2007년 K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3순위로 제주 유니폼을 입었다. 이후 구자철은 빠른 성장세와 함께 제주와 한국축구의 간판 스타로 자리매김했다.
프로 커리어의 시작과 끝도 제주였다. 2022시즌을 앞두고 11년전 해외 진출 당시 K리그 복귀 시 제주 유니폼만 입겠다던 팬들과의 약속을 지켰다. 제주 복귀 후 부상으 로 많은 경기를 소화하지 못했지만 언제나 팀을 위한 헌신을 아끼지 않았다.
제주 역시 구자철의 헌신을 잊지 않았다. 현역 은퇴에도 구자철과 동행하기로 했다. 제주는 구자철을 유소년 어드바이저로 임명했다. 제주 사랑이 남다른 구자철은 수 많은 다른 제의에도 제주의 유소년 발 전을 위해 흔쾌히 수락했다.
유소년 어드바이저로 활동하는 구자철은 앞으로 유럽 지역의 안정적으로 운영 중인 축구팀들의 유스 시스템 및 훈련 프로그램을 제주 구단에 전달한다. 또한 자신의 풍부한 유럽 축구 네트워크를 활용해 제주 구 단 유소년 선수들의 해외 연수기회를 위한 해외과의 가교 역할도 도맡는다. 제주 구단의 유럽 지역 외국인 영입에 대한 스카우팅도 지원한다.

구자철은 제주 구단 유소년 선수들에게 축구선수가 갖춰야 할 훈련태도, 자기 관리 등을 교육하고, 유소년 육성 프로그램에 대한 코칭스탭과의 소등을 갖는다. 또한 뜨거운 팬사랑에 보답하 고자 제주 구단의 팬 밀착 마케팅 활동에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기자회견에 나선 구자철은 "은퇴를 수년 동안 준비하고 생각하고 있었다. 은퇴 후에도 한국 축구를 위해 제가 받았던 사랑과 제가 누렸던 경험들을 통해 '우리 세대들은 간과하지 말자. 한국 축구에 있어 자기 역할을 해내자'라는 생각들이 확고해 수년동안 준비했다. 시대가 빠르게 변하고 세대가 변하고 있지만, 얼마나 빠릴 융화되느냐가 중요하지만, 독일 시절 유소년에 심혈을 기울이고 아우크스부르크 시절 뮌헨을 왔다갔다 하며 프런트 일에 대해 배웠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행히도 저를 나아주고 키워준 제주에서 저를 유소년 어드바이저 직책을 줬기에 서두르지 않게, 매듭이 있는 일을 해보자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라고 전했다.
구자철의 은퇴 기자회견에는 기성용, 이청용의 이름도 나왔다. 구자철과 두 선수는 축구계에서는 가장 유명한 '절친'이다.

구자철은 "성용이, 청용이는 저에게 있어 큰 힘이 되는 친구들이다. 일이 일어났을 때 가장 먼저 연락하는 친구다. 셋의 단톡방이 있다. 사소한 이슈까지 챙긴다. 은퇴 이야기를 하니 거두절미하고 굉장히 아쉬워하고 고생했다는 말을 많이 해줬다. 너무 고맙다. 성용이, 청용이를 같은 선수로서 존경하며 그들의 장점을 보고 많이 따라가려 노력했다"라고 회상했다.
이어 "너무도 훌륭한 친구, 선수였고 너무 성실했다. 한국 축구를 사랑했다. 제가 흔들리는 순간에도 두 친구의 이야기를 들으면 바로잡을 수 있는 친구였다. 전 생각도 많고 말도 많다. 한국 축구를 사랑하는 마음도 크다. 그런데 두 친구가 저보다 크면 크지 작지 않다"라며 셋 모두 한국 축구의 미래를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자철은 "은퇴 후의 작은 컨설팅도 해줬다. '여러 오퍼가 있어도 하나만 해라' 등 조언도 해준다. '네가 은퇴를 먼저 하니 잘 하고 있어야 한다'는 말도 해줬다. 친구들에게 부끄러움 없게, 그들이 은퇴를 하기까지 잘 기다리고 있겠다는 말을 꼭 해주고 싶다. 선수생활 내내 고마웠다. 영광이었다"라고 말했다.
세 선수의 계획은 무엇일까. 구자철은 "성용이는 공식적으로도 유럽에 돌아다니며 지도자 수업을 받고 있다. 행정 수업도 같이 받는다. '지도자 할거야?'라고 물어보면 저희가 공통적으로 나온 이야기가 있었다. '기회 있을 때 지도자, 행정 자격증 모두 따자. 질문하고 배우고 공유하자'고 했다. 톡방을 보면 성용이가 유럽에 다녀온 이야기를 많이 해준다"라고 전했다.

이어 "전반적으로 '뭘 하겠다'며 그들의 미래를 이야기할 수 없을 것이다. 저는 지도자 A와 P급 자격증이 남아 있다. 행정적으로도 저희 제주를 위해 경험을 공유하면서 시간을 두고 천천히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고 싶다. 중요한 것은 욕심내 서두르다가 그르치고 싶지 않다는 것이 저희의 의견이다"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한국 축구에 긍정적인 일들을 조금 더 현명하고 지혜롭게 해야 한다는 생각을 공유하고 있다. 혼자의 독단이라면 확률적으로 일을 가르칠 가능성이 커지겠지만, 저에겐 기성용과 이청용이 있다. 큰 일을 해낼 친구들이다. 열심히 해보겠다"라고 다짐했다. /reccos23@osen.co.kr